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퇴직시 연차 정산(사례)

by dagaginja 2025. 3. 26.
728x90
SMALL

 

입사일 2023.12.04 퇴사(예정일) 2025.04.07

입사년도 총연차가 26개 13개 사용

퇴직정산된 연차가 3개라고하네요 이게맞는건가요?

 

연차 휴가는 근로기준법에 따라 계산되며, 입사일부터 퇴사일까지의 근로 기간에 비례하여 연차를 부여받게 됩니다. 보통 첫 해의 연차는 입사일부터 발생한 기간을 기준으로 계산되며, 두 번째 해부터는 만 1년을 기준으로 추가 연차가 발생합니다.

 

주어진 상황을 기준으로 계산해보겠습니다:

1. 입사일: 2023년 12월 4일

입사일부터 퇴사일까지의 기간을 보면:

  • 입사일: 2023년 12월 4일
  • 퇴사일: 2025년 4월 7일

퇴사 예정일까지의 기간은 약 **1년 4개월 (16개월)**입니다.

2. 연차 휴가 부여 기준

  • 연차휴가 발생 기준: 근로기준법에 따라, 1년 동안 근로를 제공한 근로자에게 15일의 연차 휴가가 주어집니다. 그 후 1년을 초과하여 근로를 제공한 경우 매년 1일씩 추가로 연차가 발생합니다.
  • 1년 차: 2023년 12월 4일부터 2024년 12월 4일까지 근무 시 연차는 15일입니다.
  • 2년 차 (2024년 12월 5일부터 퇴사일 2025년 4월 7일까지): 약 4개월 정도 추가 근무하게 되므로 4개월을 기준으로 추가 연차가 발생합니다. 통상적으로 1년 기준으로 15일의 연차가 발생하므로, 4개월 정도 근무했다면 연차는 5일 정도가 추가됩니다.

3. 총 연차 계산

  • 2023년 12월 4일 ~ 2024년 12월 4일 (1년간 근무): 15일
  • 2024년 12월 5일 ~ 2025년 4월 7일 (4개월): 약 5일 (계산 방법에 따라 달라질 수 있지만, 대체로 4개월 근무 시 5일의 연차가 발생)

따라서 총 20일의 연차가 발생하는 것으로 계산됩니다.

4. 사용된 연차

  • 사용된 연차는 13개로 되어 있으므로, 남은 연차는 7일이 됩니다.

5. 퇴직 시 연차 정산

  • 퇴직 시 사용하지 않은 연차에 대해서는 퇴직금과 함께 지급되거나 미사용 연차 일수에 대해 금전적 보상이 이뤄질 수 있습니다.
  • 퇴직정산된 연차가 3개라는 것은 남은 연차에서 일부가 정산되어 지급되었음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퇴직 시점까지 20일 중 13일을 사용하고, 3일이 정산되었다면, 남은 연차는 4일이 맞습니다. 퇴직 후 이 4일의 연차가 추가로 정산될 수 있습니다.

결론:

  • 퇴직 정산된 연차 3개는 올바르게 계산된 것 같습니다. 즉, 사용된 13개 외에 남은 4개의 연차 중 일부가 정산되었을 수 있습니다.
  • 따라서, 퇴직 시에는 남은 연차 4일에 대해 정산을 받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728x90
LIST

Mozilla/5.0 (Windows NT 10.0; Win64; x64) AppleWebKit/537.36 (KHTML, like Gecko; compatible; Yeti/1.1; +https://naver.me/spd) Chrome/W.X.Y.Z Safari/537.36